정서 조절은 유아가 사회적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승인된 바람직한 행동으로 자신의 정서적 각성을 억제, 증강, 유지하므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다(양옥승, 2006; Thompson, 1994). 모든 인간은 기쁨, 슬픔, 분노와 같은 긍정적 혹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며, 다양한 정서적 경험 속에서 자신이 경험하고 싶지 않은 불쾌한 기분을 다루는 방법을 배우고 익히게 된다. 자신의 정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조절하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유연하게 표현하는 것은 심리․정서적 건강의 기초라 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사회적 관계 내에서 상황에 맞게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은 원만한 대인관 계를 유지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여는진, 2009). 특히 유아기는 정서조절능력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유아가 겪게 되는 또래와의 문제와 갈등상황을 어떻게 대처해 나가느냐는 유아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유아기에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여 공감하는 기회를 얻는 것은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매우 중요하다. 정서조절능력은 자신의 정서를 표정, 목소리와 같은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지적으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서를 조절, 관리하는 능력(Ekman, 1984; Thompson, 1994)이며, Bernstein(2002)은 정서조절 능력을 적응적 행동을 방해하는 정서 억제와는 구별되는 또 다른 개념으로 서, 자신의 정서를 유연하게 조절하고 관리하고 유아가 속한 환경 내에서 적절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돕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즉, 정서조절능력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이 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정서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정서의 발달은 다양한 측면으로 구성되지만, 유아의 정서 발달에서 중요 하게 강조되고 있는 부분은 학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Salovey와 Mayer(1997)는 정서조절 능력을 자신의 긍정적․부정적 정서를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표현하고 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부정적 정서를 바로잡고 최소화함으로써, 자신이 속한 사회에 기대하는 정서 상태로 조절하는 능력이라고 하였으며, 정서 지능의 하위요인으로 정서의 지각과 인식 및 표현, 정서적 사고 촉진, 정서 지식의 활용, 정서조절로 분류하였으며 그중 정서조절을 가장 높은 수준의 정서 지능의 요인으로서, 정서적-지 적 향상을 위하여 정서를 의도적으로 조절하는 능력과 관련된다고 하였다. Goldman(1995)은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이성과 감성이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관계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적 갈등을 긍정적으로 처리하는 정서적 능력이 더욱 중요하며, 이는 자신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고, 자신의 가정을 조절하며, 자신을 동기화하고, 타인의 감정을 인식, 타인과 적절한 대인관계를 맺는 능력 등 정서 지능의 5개 하위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Dodge(1987)는 정서조절이란 한 가지 영역에서의 활성화가 다른 반응 영역에서의 활성화를 변경, 적정(滴定), 조율하는 등의 과정이라고 하였으며, Gross(1998)는 정서조절이라는 용어가 모호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더욱 분명하게 구분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즉, 정서조절은 정서를 조절하는 것과 정서 때문에 조절되는 것,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것과 타인의 정서를 조절하는 것, 의식적인 정서조절과 무의식적인 정서조절 과정의 각각 두 가지 측면들을 모두 포함한다고 제안하였다. Hinnant와 O'brien(2007)은 정서의 영역에서 정서 조절은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정서적 흥분을 억제, 증진, 지속, 조정하는 능력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정서조절능력 발달을 위해서는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것뿐만 아니라 타인의 정서를 잘 파악하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모의 양육과 관련하여 살펴본 선행연구에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부정적인 정서조절능력은 공격성을 유발하고 긍정적인 정서조절 능력은 공격성을 억제한다(박혜경, 2002; 김미정, 2006; 김희영, 2010)고 하였으며 김인숙․김유진․김영희(2010)는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공격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혔다. 또한, 박성연(2005)은 여아의 정서조절능력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에서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여아는 반응 적 공격성을 더 강하게 나타낸다고 하였다. 부모의 양육 행동과 태도 및 정서수용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정서조절 능력을 갖춘 유아는 또래유능성 및 사회적으로도 유능한 사람으로 성장한다 (허 애수, 2003; 김은경, 2005; 안가리, 2005; 신현숙, 2006, 채영문, 2010)은 연구결과도 있다. 한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김미경, 2008)에서는 유아의 나이에 따라 정서조절능력에 차이가 나타났고, 부모의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로 살펴보아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유아들의 성장․발달에 필수적인 능력임에는 틀 림이 없고, 이러한 정서조절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부모들의 올바른 부모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서조절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화적 정서 표출 규칙을 습득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능력으로(Shaffer, 1999) 기쁨, 즐거움 등의 긍정적인 정서와 분노, 공포 등의 부정적인 정서 수준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적응적으로 대처하는 행동과정이다(KPOP, 1989). 정서조절에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기조절과 타인조절이 포함된다(문용린, 1996). 자기조절은 긍정적인 정서를 유지하고 부정적인 정서는 감소시키면서 상황에 적합하게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며, 타인조절은 자신에 대한 타인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의 정서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양식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문용린, 1996; 허정무․권민균, 2006). 넓은 의미의 정서조절이란 하나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과정으로 나타나지만, 정서조절은 유아 각자가 다르고, 각기 다른 표현방식을 가지고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적응적으로 발달하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정서조절 능력의 발달은 유아가 또래와의 상호작용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정서를 표출할 수 있도록 도우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발달하는 기초가 마련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서조절이 정서 지능의 구성요소로서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조절할 줄 아는 능력이라는 선행연구(문용린, 1996; Salovey & Mayer, 1990)에 기초하여 유아 정서 지능 척도의 4개 하위영역 중 자기조절과 타인조절만을 검사도 구로 사용하였다.
'유아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개념 (0) | 2020.04.19 |
---|---|
부모역할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의 연관성 (0) | 2020.04.19 |
유아교육학의 부모역할 구성요인 (0) | 2020.04.19 |
유아교육학에 대한 부모역할의 개념 (0) | 2020.04.19 |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부모역할의 중요성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