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학

유아 진로교육과 진로인식의 연관성

첫 진로교육의 시작점인 유치원 시기는 진로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둘 수 있다. 진로인식은 진로와 관련한 선택의 과정에서 개인이 형성하게 되는 자기 자신과 일의 세계에 대한 지식, 가치관, 선호, 자아개념 등을 통합하는 의미이다 (Herr, Cramer, & Niles, 2004). 유아의 진로인식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바탕으로 가정, 사회의 직업 세계, 일에 대한 이해 및 개념화를 의미한다(이은숙, 1996). 유아는 진로발달과정에서 진로인식 경험을 통해 일의 진가와 진로선택의 준 거를 이해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직업에 대한 소양을 갖출 수 있다(이 유령, 2014). 진로교육은 진로인식을 위해 개인이 앞으로 수행하게 될 일과 직업을 준비하도록 돕는 교육이며, 각 개인이 일의 의미를 인식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만족스럽게 해 나가게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정철영, 2004). 따라서 유아를 위한 진로교육에서 진로인식 증진을 위해 어떤 직업을 결정하도록 하기보다는 자신의 소질을 발견하고 일과직업 세계에 대한 인식, 일의 가치, 미래에 대한 희망을 형성하는 데 초점을 둘 수 있다. 이에 대하여 Betty A. Beach(1988)는 ‘진로인식’ 발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유아의 자아인식, 부모의 일에 대한 인식, 일의 세계에 대한 이해, 일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로 구성하였다. 유아를 위한 진로 관련 교육활동이 유아의 진로인식을 향상했음을 밝힌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박은실(2004)은 STAB 협동학습을 통한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유아의 진로인식을 향상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양 계숙(2004)은 직업프로젝트 수업이 만 5세 유아의 진로인식 발달에 효과가 있으므로 만 5세 유아의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사회의 현상과 직업의 세계 이해를 돕는 체계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 연주(2004)의 연구는 아바타 활용과 같은 멀티미디어 사용이 유아가 직업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데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임연정(2011)은 현장체험학습을 통한 역할놀이가 만 5세 유아의 진로인식 중 부모의 일에 대한 인식, 일의 세계에 대한 이해, 일의 가치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임을 나타냈다. 정은혜 (2012) 연구 또한 ‘직업 프로젝트’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진로인식 변화에 효 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라고 밝혔으며 박선화(2013), 김주현(2014)은 직업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와 가정연계 교육이 유아의 진로인식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명숙, 우정 순(2014)은 만 5세 유아 진로코치 프로그램이 유아의 진로인식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지미화, 이경화 (2016)의 연구는 직업 관련 극 놀이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진로인식 향상에 효과적임을 밝혔다. 이를 종합해 보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유아 진로교육 활동이 유아의 진로인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유아에게 적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위한 진로교육으로 유아가 앞으로의 진로발달에서 장래 진로 선택에 대한 인식과 직업에 대한 흥미를 증진하고 진로와 자신의 특성을 이해하고 연결하는 ‘진로인식’에 대한 효과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