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이라는 것은 뒷받침하거나 편들어 도움을 주거나 원조해 줌을 뜻한 다(동아 새국어사전교사의 발달과 적응 신장을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그들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고 미래의 문제에 관련된 능력 향상과 새로운 방법의 개발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초임교사를 위한 지원방안에 대한 필요성은 여러 학자에 의해 지적되었고 발달 적 특성과 교직적응 특성을 고려하여 직전 교육 지원 지원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권영채; 김신영; 오인학, 1991; 이창수; 임용순; 임진형; 최상근; Burden, 1982; Galloway; Katz; Reiman). Katz(1985)는 발달 적 특성상 생존기에 속하는 초임교사들은 지원, 격려 등의 심리적 안정과 교실현장에서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찰력이 필요하므로 초임교사나 교수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원장이나 경력 있는 동료 교사로부터 보다 즉각적이고 지속해서 도움에서 가장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Haling-Austin(1990) Farrah(1992)는 초임교사에게 도움이 되는 지원은 교실과 학교에서의 성공에 필요한 지식 신임 교사를 보조하는 교육적 지원(instructional support)과 자신감 쌓기 개발, 긍정적 자존감 고양 신뢰 강화 스트레스 조절과 같은 자기 인식을 위한 심리적 지원(psychological support)이라고 하였다. Books(1997)는 초임키 동안 전문 조언자(menter)의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교사들은 전문가로 발전할 수 있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Thief-Sprint hall(1998)도 초임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가장 가치 있고 효과적인 방법은 초임교사에게 조언자 교사를 배치하는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초임교사의 요구와 지원에 관한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이승연(1994)은 초임교사의 생존적인 문제에 관한 관심과 걱정을 덜어 줄 수 있도록 유치원 내의 지지적인 풍토 조성 등 원장의 충분한 이해와 배러 가 요구되며 교사들 간의 지지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임승렬(1995)은 초임교사를 위한 입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초임교사들이 교수계획을 수립할 때 교수활동이 개념들을 위계적으로 잘 조직하고 횡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이 신장하였다고 보았으며 다양한 문제와 갈등에 직면했을 때 의사결정 능력과 교수 효능감이 증진되었다고 발견 지원을 위한 입문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였다. 오희성(2000)은 어린이집 교사의 결혼 유무와 교육적 신념에 따라서 기혼 교사가 미혼 교사보다 아동중심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경력이 많을수록 일반적으로 교육의 실제에 대한 강조가 높게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다.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교사 준비교육기관이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외에 교육원에서 1년의 단기과정을 통해 배출되므로 교사와는 달리 학력의 차이가 크다고 볼 수 있으며 교사자격 또한 다양하게 소지하고 있다. 이지영(2000)의 연구에서 유치원 초임교사들은 초임교사에게 효과적인 지원 방법을 동료 교사 조언 듣기(서적)제공의 순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조운주와 최일선(2004)의 초임교사의 갈등조절 연구에서 초임교사들은 갈등을 조절하기 위해 인적 지원체제를 활용하고 통해서 스스로 갈등을 조절하였고 대학교 육이 교육관 등 기본적인 지원을 해주고 있다고 여기며 부분보다는 실제와 관련된 부분들이 교사생활에 더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어린이집 초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주연희 2003; 이 완희; 조혜진)에서도 초임보육교사의 지원 실제와 어려움에 따른 지원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영아반 초임보육교사에 관한 연구(이완희; 조혜진)에서 영아반 초임보육교사는 역할혼돈과 갈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노력과 주변의 지원을 통해 점차 인식의 과정을 거쳐 어려움을 줄여나가고 있었다. 그러나 초임보육교사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양성과정의 교과과정에서 영아반 교사가 되는데 필요한 보육철학이나 신념을 심어줄 필요성과 이론과 지식이 현장과 연결될 수 있도록 재구성해서 가르쳐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주연희와 유미림(2003)과 조혜진(2007)의 연구에서 초임보육교사들은 경력 교사 원감 잡지 수집 자료와 정보 카페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초임교사의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동료 교사 등에 의한 감정적 지원과 전문적 지원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배경변 인을 고려하여 교직적응의 불안과 문제 및 지원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초임교사들을 위한 지원방안은 인적․물적, 공식적․비공식적 등 다양한 것들로 열거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지원 방안은 ‘입문교육(induction)'의 범주 내에서 유기적으로 종합될 수 있을 것이며 초임교사를 위한 효과적인 입문교육 프로그램 개발되기 위해서는 초임 교사의 지원요구와 지원 출처를 파악하고 초임 교사들의 발달 적 특성을 고려한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유형의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유아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의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0) | 2020.04.19 |
---|---|
아버지의 놀이성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0) | 2020.04.19 |
초임 유아교사의 어려움 (0) | 2020.04.19 |
초임 유아교사의 발달적 특성 (0) | 2020.04.19 |
유아교사와 신체활동 교과교육학과의 연관성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