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컨설팅 장학의 필요성에 대해 세계적인 유아 교육학술기구인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NAEYC)에 따르면, 유치원 컨설팅 장학은 유치원 교사, 원장, 그리고 원아 가족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인해 이들이 한팀이 되어서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과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아들이 높은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NAYEC, n.d. 1). NAEYC는 1985년에 전문적 규준(professional standards)을 만들어 유아교육의 전문가들을 통해 유아 교육기관 컨설팅 장학을 해왔으며, 이는 모든 유아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NAEYC의 컨설팅 장학을 통해 승인을 받은 유아 교육기관이 공식적으로 11,000개 이상이 되며, 백만 명 이상의 유아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Jacobson, 2006). NAEYC의 컨설팅 장학을 통해 승인을 받은 유아 교육기관들은 일반적으로 양질의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부모들은 자신들의 아이들을 위해 유아교육 기관을 찾을 때, NAEYC로부터 승인된 기관들을 찾는 경향이 있다(Jacobson, 1999). NAEYC로부터 승인된 유아 교육기관 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인다(NAEYC. NAEYC로부터 승인된 유아 교육기관들은 교사들이 정식 교육을 더 많이 받았으며, 유아교육을 전공한 교사와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더 많이 적용하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학습과 발달을 위해 유아 중심의 환경 제공과 유아들의 요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교사들 간의 대화가 많고, 유아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규율 강조와 유아의 영양과 음식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하고, 유아 교육기관과 유아의 부모와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NAEYC의 유치원 컨설팅 장학은 세 가지 단계 즉, 자기 평가, 전문가의 방문 컨설팅과 평가, 승인 여부와 feedback 제공을 포함하고 있다(NAEYC, 2008). NAEYC에 따르면, 유치원 컨설팅을 통해 승인된 유아교육 기관들은 다음과 같은 실제적인 특징들을 보인다. 유아들이 기관에서 행복하고 즐겁게 지내고, 나이와 발달에 맞는 교재를 제공하며, 유아 수와 교사 수의 비율의 균형(balance)을 유지한다. 또한 유아들이 어떻게 학습하는지를 배우고(leaning how to learn), 유아의 요구와 필요에 따른 교육계획의 융통성을 꾀하는 한편, 유아 부모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지속적인 대화를 통한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유치원 컨설팅 장학은 유아 교육기관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지적하며, 이는 또한 유아의 부모에게도 유아교육의 질을 구분할 수 있는 규준과 기관의 정보를 제공함으로 부모들이 그들의 자녀를 위한 양질의 유아교육 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분별력을 제공해야 한다(Miller, 1995). 또한 컨설팅 장학은 교사의 교수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교실에서 교사의 교수-학습방법과 태도, 유아와의 상호작용 방법 등 수업 전반에 영향을 준다(French et al. 2007). 유치원 컨설팅 장학을 통해 교사들은 자신들이 평가 이상의 도움과 지원을 받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지속해서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적용하려고 노력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 기관에서 일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컨설팅을 받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고용된 교사들의 직업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이러한 기관들에서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자신들이 유아교육 기관 내에서 여러 분야(예컨대, 기관의 물리적 환경 결정, 기관의 구조도 등)에 공헌한다고 느끼고 있다( French et al. 2007). 유치원 컨설팅 장학은 단순히 교사 중심적인 교수(teaching practice) 방법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종합해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NAEYC(전미 유아교육학회)의 유아 교육기관 컨설팅장학과같이 총체적인 컨설팅 장학이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 교육기관의 총체적인 컨설팅 장학을 통해 해당 유아 교육기관에 적합한 평가와 feedback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더욱 건설적이고 건강한 유아 교육기관을 유지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은 1985년부터 유아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컨설팅 장학이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2011년부터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컨설팅 장학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2012년부터 몇몇 시도에서 컨설팅 장학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홍보 부족과 기존 시행하던 장학제도와의 혼동으로 많은 유아 교육기관이나 교사들이 신청을 꺼렸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유치원 컨설팅 장학은 한국의 유아교육 기관의 질을 향상 놈 고, 교과 중심이 아닌 통합적 교육과정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유치원 교사에게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이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에게 질 높은 수업과 환경을 제공해준다는 차원에서 하루빨리 컨설팅 장학을 제도적으로 정착시키고 이를 시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유아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생태교육 프로그램과 자연친화적 태도와의 연관성 (0) | 2020.05.21 |
---|---|
유아 생태교육의 개념 (0) | 2020.05.20 |
유치원 교육과정의 특징 (0) | 2020.05.12 |
유치원 교사의 직무 특성 (0) | 2020.05.12 |
유아교육학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직무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