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학

유아교사 핵심역량의 개념

DeSeCo Project 프로젝트 이후 여러 나라에서 핵심역량의 표준을 개발한 후 이를 교사 교육과 연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교사의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체계화하려는 연구가 지속해서 수행되고 있다. 교사의 핵심역량은 교사의 역할과 직무, 자질 및 능력에 관련된 것으로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보여주는 전문성의 기준과 관련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박승태, 2011).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유아교육 분야에서도, 유아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측면에서 유아 교사의 핵심 역량에 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으며 논의의 필요성이 계속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아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알아보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유아 교사 핵심역량의 영역과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역량’이란 조직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이나 개인의 행동특성이며 ‘핵심역량’은 말 그대로 역량 중에서도 더욱 강조되는 역량을 의미한다(이경진 외, 2009). 유아교육 분야에 있어 유아 교사가 지녀야 할 핵심역량이란 유아 교사로서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갖춰야 할 포괄적 능력으로서 전문적 지식과 기술, 태도, 소양, 가치관 영역 등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조혜진. 또한 외(2009)는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을 유치원 교사의 특성, 유치원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 유치원 교사의 역할, 유치원 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 등을 포괄하는 일종의 핵심적인 직무수행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성병창 외재인용). 한편 신은 수 외(2011)는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이 가지는 몇 가지 특성을 기초로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있으며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은 맥락적, 통합적, 지속적, 반성의, 진보하는 특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핵심역량은 많은 변인이 존재하는 실제 상황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맥락적이며 교사가 맥락과 상황을 인식하고 행동을 취하기 위해서 유용한 지식, 기술, 태도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통합하거나 조직해 사용한다는 점에서 통합적이다. 또한 상황과 관계없이 지속해서 실천해야 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이라 볼 수 있으며 교사가 지식, 기술, 태도를 총체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수행에 대해 반성을 하게 한다. 그리고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진보하는 특성을 가지는데 낮은 수준의 지식을 서술하고 입증하는 것에서부터 더욱 복잡한 지식의 적용을 요구하는 수준까지 전문적으로 발달하게 된다 (Nijveldt, Beijaard, Brekelmans, Veroop, & Wubbels, 2005; Quebec Ministry of Education, 2001; 신은 수 외, 2011). 이러한 특성에 기초하여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을 정의하면 유아들에게 질적인 환경과 경험을 제공하고, 유아들의 발달 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 한 지식, 기술, 태도를 맥락과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조직하여 실천, 반성할 수 있는 능력이라 정의할 수 있다(신은 수 외, 2011, 재인용). 유영 의(2011)는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이란 교사로서 행복과 사회 발전을 위하여 교사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이며, 학교라는 조직 환경 속에서 자신의 경력 혹은 직급에 요구되는 특정한 직무나 임무를 수행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지식, 태도, 수행의 결합체라고 보았다(유영의, 2011). 앞선 연구자들(성병창 외, 2009; 신은 수, 2011; 유영의, 2011; 조혜진, 2010)의 개념 정의를 종합해볼 때, 유아 교사의 핵심역량은 과거 유아 교사의 자질, 역할, 특성 등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개념이며 교사 전문성의 기준과도 관련된다. 또한 유아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이나 기술 등의 한 측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지식, 태도, 기술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