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학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탐구 필요성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 세계 각국은 교육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교육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OECD(2005)에 따르면 가속적으로 변화하는 미래사회 속에서 국가의 성장과 발전 여부는 얼마나 우수한 인적자원을 양성하는가에 달려 있으며, 우수한 인적자원의 양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의 질 향상이 전제돼 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우수한 인적자원의 양성을 위해 교육의 질을 향상해야 한다고 할 때 가장 먼저 논의되는 것은 교사 전문성이며, 전 세계적으로 교사의 생애에 걸쳐 전문성을 신장하고 관리하는 것이 국가적 책무라는 점에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도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의 질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해나가고 있다. 특히 유아교육의 경우,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 유아 교사의 전문성이 더욱 중요하다. 왜냐하면 어릴수록 교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데 유아 교사는 어린 유아를 교육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기초를 닦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전문성을 갖춘 유아 교사가 필요하다(박은혜, 2009). 또한 경우 초·중등교육과 달리 일정한 교과서가 없으므로 교육내용, 교수 방법, 교재교구 선정 등의 모든 교육활동에 교사의 자율성이 많이 반영되어 운영되므로 유아 교사는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문혁준 외, 2010). 즉 유아 교사는 교육과정 운영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한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 되며 동시에 가장 전문적인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는 책임을 가진 셈이다(임승렬, 2009). 그뿐만 아니라 유아기는 다른 시기보다 투자 대비 산출의 효과성이 큰 시기이므로 미래 인적자원 양성의 측면에서 투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우수한 역량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고 엄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박승태, 2011). 이처럼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유아 교사의 전문성을 증진이 중요한 상황에서, 최근 교육 분야에서 역량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역량은 본래 직업 사회에서 유능한 인력의 충원이라는 차원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여기서 역량이란 조직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 직원의 행동 특성을 의미한다(김진모, 2001; 소경희, 2007). 이러한 역량의 개념은 특정 직무의 성공적인 수행과 관련된 능력이라는 의미를 지니면서 직업 훈련이나 기업교육 분야에서 사용됐으나 최근에는 OECD의 DeSeCo Project를 통해 직업이나 직무와 관련된 것에서 벗어나 일반적 삶의 질과 관련한 논의로 발전하게 되었다. OECD는 DeSeCo Project를 통해 역량의 중요성을 천명하였고 특정 맥락에서 필요로 하는 목록을 산출하는 것에서 벗어나 오늘날 복잡한 삶에 대처하기 위한 광범위한 역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소경희, 2007). 이처럼 역량이 강조되면서 학교 교육에도 급변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교육 분야에서의 역량에 관한 연구와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교육 분야에도 역량에 대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역량 중에서도 더욱 강조되는 역량을 의미하는 핵심역량을 강조하고 있다(이경진 외 어교사 핵심역량’이란 유아 교사의 특성, 유아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 유 아교 사의 역할, 유아 교사로서의 자질 등을 포괄하는 일종의 핵심적인 직무수행 능력을 말한다(성병창 외, 2009, 재인용). 즉 유아 교사의 핵심역량은 교사의 역할과 직무, 자질 및 능력에 관련된 것으로,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보여주는 교사 전문성 기준과 관련되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박승태, 2011). 따라 서 유아 교사의 전문성이 강조되는 현 상황에서 교사의 핵심역량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예컨대 미국은 80% 이상의 주에서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핵심역량을 개발하였고, 영국과 캐나다 등에서도 유아 교사 핵심역량과 경력 모듈을 개발하여 이를 교사교육이나 평가 등과 연계하고 있다(유영의, 2011, 재인용). 한편 국내에서도 교육의 질 제고와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목적에서 핵심 역량에 관한 관심이 주목받았고 주로 교장이나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강석주, 2004; 백순근 외, 2007; 성낙돈, 2007; 신 성명, 2008; 주현준, 2007; 진상희, 나일 줄, 2009; 최진영 외, 2009; 한국경제임 외, 2008).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최근 유아교육 분야에서도 『유아교육 선진화 기반조성사업』과 관련하여 정부 차원에서 유아 교사의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함양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기 시작했다(박은혜 외, 2010; 박혜경, 2012). 이 연구는 미래사회의 특성과 외국 핵심역량 내용 분석을 기초로 한국의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의 영역과 하위내용을 구성하였고 이를 교사 양성과정, 교사 평가, 교사 임용 등과 연계하려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박은혜 외, 2010). 이와 더불어 국내 학자들의 유아 교사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성 병창 외(2009)의 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 인식조사가 대표적이다. 성병 창 외(2009)는 문헌고찰을 거쳐 유아교육 공동체(유치원 교사, 학부모, 유치원 행정 관련 종사자, 유치원 교사 양성 대학의 전공교수)를 대상으로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 영역과 요소를 체계화하였다. 또한 신은 수 외(2011)의 연구는 핵심역량의 개념과 가치를 제시하고 외국의 핵심역량 분석을 통해 한국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의 내용과 수준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들은 핵심역량의 영역과 요소를 체계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을 뿐 유아 교사가 핵심역량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역량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박승태(2012)의 연구에서 3년제 유치원 교사가 영역별로 핵심역량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유아교육과 교수와 학생, 유치원 원장,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면접을 통해 조사했으나 이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적정한 수업연한을 제시하기 위한 과정일 뿐 유아 교사의 핵심역량에 연구의 주요한 초점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선행연구들을 통해 규명된 핵심역량의 개념과 영역을 바탕으로 유아고 사들이 핵심역량을 실제로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는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사 교육, 교사 평가 등과 연계하여 더욱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들은 유치원 교사 또는 보육교사 한쪽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연구 대상의 학력을 한정하여 학력, 근무기관 등 다양한 유아 교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예컨대 성병창 외(2009)와 신은 수 외(2011), 박혜경(2012)의 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김연진(2011)의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핵심역량을 추출하기 위한 반구 조화 면담조사와 설문조사를 하였다. 박승태(2011)의 연구 또한 3년제 유아교육과를 졸업한 유아 교사로, 연구대상의 학력을 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는 근무기관의 설립근거가 다르고 주무부처가 이원화되어 있는 차이가 있으나(위숙희, 2008), 교육의 대상이 겹치고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 모두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육을 실천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 모두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핵심역량을 갖추어야 할 대상이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의미인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