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4)
유아 진로교육의 필요성 농경사회에서의 직업 개념은 생계수단으로서의 경제활동이란 개념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현재 우리가 사는 정보화시대에서의 직업에 대한 개념은 경제활동의 범위를 넘어서 자아실현과 한 사람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보다 광범위한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시대적 흐름에 따라 직업에 대한 개념이나 직업형 태가 변화됨에 따라 미래 사회에서의 직업관은 현재의 직업관과 또 다른 형태로 변화할 것이다. 미국의 ‘NELL(전미 고용법 프로젝트, 2016)’에 따르면 현재 직업 중 절반이 20년 안에 사라질 것이며 빠르면 10년 안에 현재 직업의 30% 이상이 사라지거나 새로운 직업이 생겨날 것이라고 한다.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직업과 직종의 다양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하고 급변하는 직업 세 계에 더욱 유연하게 대..
유아교사 핵심역량의 구성요소 최근 여러 나라는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국가나 주 수준에서 자국의 맥락에 적합하게 규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유아고 사 핵심역량의 영역과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국은 약 80% 이상의 주가 유아교육 인력을 위한 핵심지식과 핵심역량을 개발했다. 핵심역량의 영역은 주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5개에서 8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통된 영역으로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 유아 관찰과 평가, 학습 환경과 교육과정, 유아와 상호작용, 가족과 지역사회, 전문적 발달과 지도력, 건강·안전·영양 프로그램 계획 및 개발이 있다. 또한 수준은 핵심지식 및 핵심역량의 위계 구조를 수용하여 학력, 경력 등에 따라 3수준에 6수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영국은 학교 교육 개발국(T..
유아교사 핵심역량의 개념 DeSeCo Project 프로젝트 이후 여러 나라에서 핵심역량의 표준을 개발한 후 이를 교사 교육과 연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교사의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체계화하려는 연구가 지속해서 수행되고 있다. 교사의 핵심역량은 교사의 역할과 직무, 자질 및 능력에 관련된 것으로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보여주는 전문성의 기준과 관련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박승태, 2011).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유아교육 분야에서도, 유아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측면에서 유아 교사의 핵심 역량에 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으며 논의의 필요성이 계속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아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알아보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유아 교사 핵심역량의 영역과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